본문 바로가기

AI기술 및 IT분야

IP 주소 확인과 도메인 주소의 뜻과 의미

인터넷을 이용하고 검색하다보면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IP주소만 확인되면 정말 해당 컴퓨터의 위치를 알 수 있을까요? 오늘은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과 도메인 주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구글 IP주소로 검색 후 연결된 포털 화면
구글 IP주소로 검색 후 연결된 포털 화면

1.IP 주소란?

IP주소(Interner Protocol address)란 인터넷에 연결된 노트북, 스마트폰, 데스크톱과 같은 클라이언트부터 각종 서버까지 모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고유한 주소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142.250.207.100'을 입력하면 주소가 'google.com'으로 바뀌고 구글에 접속됩니다. 'google.com'은 외우기 쉬운 별명이며 142.250.207.100이 IP주소입니다.

IP주소가 google.com인 포털 화면
IP주소가 google.com인 포털 화면

겹치지 않는 인터넷 신분증이라 볼 수 있으며, 0,0,0,0~255,255,255,255처럼 주소는 0부터 255까지 임의의 숫자가 이어져 구성되었습니다.

개수는 총 42억 9,476만 7,296개입니다. 이런 IP주소 체계를 IP version4, IPv4라고 칭합니다. IPv4에서 제공하는 약 43억 개의 IP주소는 전 세계의 모든 나라가 나눠 쓰기에 부족하였어요.

IPv4를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 화면
IPv4를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 화면

그래서 1995년부터 IPv6(IP version6)이라는 새로운 주소를 만들어 IPv4와 함께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IPv6는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주소를 부여할 수 있으며, IP주소는 절대 겹치지 않습니다.

IPv4와 IPv6의 차이점 정리 

IPv4: 주소 길이는 32비트, 지원 가능한 장치 수는 약 43억 개

IPv6: 주소 길이는 128비트, 지원 가능한 장치 수는 무한대 

고정 IP주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HTML편집창을 킨 노트북 모습
고정 IP주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HTML편집창을 킨 노트북 모습

2.고정 IP주소

주소 값이 바뀌지 않는 고정 IP주소주소 값을 바꿔 쓸 수 있는 유동 IP주소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는 고정 IP주소를 사용하여 고객이 구입한 제품을 반품하는 경우 주소가 바뀌는 곤란한 일이 생기는 상황을 대비하여 한 번 정해진 주소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노트북으로 HTML편집창을 켜서 코딩을 하는 모습
노트북으로 HTML편집창을 켜서 코딩을 하는 모습

또한 기업도 이사할 때 처럼 전입 신고를 하고 고정 IP주소를 부여받습니다. 이 주소를 사용하는 큰 이유로는 '보완'문제가 있습니다. 고정 IP주소를 가진 기기는 신원이 검증된 기기만 허용되는 곳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민감한 개인 정보를 다루는 서버에는 신원이 확실한 사업자의 고정 IP주소만 접속하도록 허가했어요.

데이터센터가 있는 고층빌딩
데이터센터가 있는 고층빌딩

주소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라는 곳에서 발급 받습니다.

ISP는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ISP는 인터넷 회사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ISP로는 SK 텔레콤, LG U+, KT등이 있어요.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그려낸 고양이 모습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그려낸 고양이 모습

3.유동 IP주소

유도 IP주소란 한정된 IPv4의 주소를 효율적으로 부여하고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만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주소입니다.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부여하는 주소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유동 IP주소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장치에 주소를 잠깐 대여했다가 반납할 수 있습니다.

책상 위에 놓여진 컴퓨터의 모습
책상 위에 놓여진 컴퓨터의 모습

주소를 대여하는 역할은 DHCP(네트워크의 컴퓨터 장치에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규칙)서버가 합니다,

유동 IP주소를 사용할 때 IP주소가 바뀌는 경우는 2가지 입니다. 첫 번째는 DHCP를 갱신하는 경우, 두 번째는 비행기 모드로 데이터를 끄거나 기기를 종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해서 편집을 하는 모습
컴퓨터를 사용해서 편집을 하는 모습

4.IP주소 확인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CMD(명령 프롬포트), 스마트폰 설정, 인터넷 검색 등을 활용할 수 있어요.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인 IP주소와 사설 IP주소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사설 IP주소는 로컬 네트워크(가정이나 사무실 내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주소입니다. 외부 인터넷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공유기 등을 통해 공인 IP와 연결됩니다. 

PC로 영상 편집을 하는 장면
PC로 영상 편집을 하는 장면

공인 IP주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값으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장치(웹 서버, 원격접속 PC, VPN)에 사용됩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개별 사용자 또는 기업에게 할당됩니다.

사설 IP주소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소는 개별 사용자 또는 기업에게 할당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카메라 어플 화면
카메라 어플 화면

CMD (명령 프롬포트) 사용 (Windows)

1.Windows 키 + R을 눌러서 실행 창을 열기

2."cmd"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르기

3.명령 프롬포트에서 'ipconfig' 명령어를 입력

4.결과에서 IPv4 주소 부분이 현재 사용하는 사설 IP주소임

스마트폰을 킨 화면
스마트폰을 킨 화면

스마트폰에서 IP주소 확인하기

아이폰: 설정 > Wi-Fi > 연결되 네트워크 선택 > 주소 확인

안드로이드: 설정 > Wi-Fi > 연결되 네트워크 선택 > 주소 확인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하기 / 공인 IP주소 확인

1.네이버 또는 구글 검색창을 열기

2."내 IP주소"라고 검색

3.검색 결과 상단에서 현재 사용 중인 공인 IP주소를 확인 가능

네이버 본사 이미지
네이버 본사 이미지 (사진 출처:연합뉴스)

5.도메인 주소란?

도메인 주소는 기억하기 어려운 IP주소를 Naver.com처럼 인간이 기억하기 쉽게 문자열 형태로 만든 주소를 말합니다.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Naver.com'을 입력하면 도메인 주소를 관리하는 DNS는 해당 도메인 주소에 매칭되는 IP주소로 변화함으로써 네이버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을 킨 모습
스마트폰 화면을 킨 모습

DNS 덕분에 12자리 숫자를 외우지 않아도 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주소 앞에는 www와 같은 접두사가 붙기도하며 접두사가 없는 Naver.com은 메인 도메인, 접두사가 있는  www.naver.com  는 서브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네이버 소개 이미지
네이버 소개 이미지 (사진 출처:Naver 윅스 홈페이지)

5.개인적인 의견

오늘은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포함하여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다뤄보았습니다. IT지식은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에 비전공자의 입장에서도 이해하기 쉽게 글을 전달드릴게요. 다음 글도 최근 이슈와 관련하여 꼭 알아야 하는 정보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