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이슈/해외 이슈 및 정치분야

트럼프 캐나다와 멕시코 25%관세 부과 시작, 중국 10% 추가 관세 정리

지난 2월 28일, 트럼프의 관세 발표 소식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관세 정책 발표로 주식시장에서는 눈물의 하락장이 펼쳐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관세 부과를 시작한 내용과 중국 10% 추가 관세 내용을 정리하여 전해드리겠습니다.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 출처: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1.흔들리는 미국 주식시장 

지난 2월 28일, 금요일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눈물의 하락장이 펼쳐집니다. 엔비디아 -8.48%, 브로드컴 - 7.11%, 테슬라 -3.04%를 포함한 대형의 주식들이 크게 크게 빠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주식도 크게 빠졌지만, 그 와중에 버크셔(워렌버핏의 투자 목적 지주회사)는 +1.68%가 상승했습니다.

엔비디아 주가 하락 장면
엔비디아 주가 하락 장면 (사진 출처:로이터)

또한 1년째 여전히 강한 나스닥(미국의 장외 주식거래시장)도 트럼프 취임 최근 1달간 -4%로 빠지면서 주식시장은 큰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시장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미국의 반도체 설계/제조/서비스 기업)의 실적 발표와 동시에 급락하기도 하였습니다. 엔비디아는 4분기 매출액 393억달러 (매출액이 56조원) 영업이익 240억 달러 (약 35조원) 영업이익 비중이 높았습니다. 

백악관 집무실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백악관 집무실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UPI/연합뉴스)

엔비디아 실적을 좋았지만 블록버스터급의 실적은 아니었습니다. 약 1년에 140조 정도를 벌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공무원들을 대폭적으로 해고하여 주식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의견이 오고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AFP)

하지만, 연방 공무원 대거 감축이 일어나 향후 신규 실업수당 급증세의 배경이 될 수는 있지만 이번 주 발표된 주식시장의 수치의 원인이라는 증거는 아직 없는 상황입니다. 

주먹을 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주먹을 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로이터 연합뉴스)

2.중국 45% 관세 부과?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소식이 주식시장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당장 이번 주인 3월 4일부터 캐나다 멕시코에 25% 관세 및 중국에 추가 10% 관세가
발표될 것으로 강조했습니다.

일본 오사카에서 만난 미국 대통령과 중국 대통령 (사진 출처:AFP)

중국은 기존에 25% 관세를 부과 받았으며, 지난 달 2월 4일과 3월 2일에 10%추가 관세를 부여받았습니다. 

중국에 추가 10% 관세라면 합쳐서 45% 관세?
기존 관세: 25% 부과
2월 4일: 10% 추가 관세 발표
3월 2일: 다시 10% 추가 관세
다 합치면 45%

트럼프는 선거 때 중국에 대해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언론브리핑 장면
캐롤라인 레빗 언론브리핑 장면 (사진 출처:AP 연합뉴스)

3.멕시코와 캐나다 25% 관세부과 

트럼프가 3개국에 관세를 매기는 공식적인 이유는 마약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마약이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들어오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펜타닐이 제조되고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마약과 관련된 이 재앙이 멈추거나 제한될 때까지 관세 부과는 지속될 것이다라고 전했습니다.

관세 부과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과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 출처:AP 연합뉴스)

이후, 발등에 불이 떨어진 멕시코는 마약 범죄자들을 긴급하게 송환 중에 있으며, 2월 27일 멕시코 정부는 자국의 최고급 마약 카르텔 지도부 30명을 미국에 보냈다. 미국에게 너그러운 마음으로 한 번 봐달라는 낌새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어딘가 공교롭게도 미국에게 관세를 부과받은 멕시코, 캐나다, 중국은 미국 수출 랭킹 1위, 2위, 3위 국가들입니다.

국가별 단순평균 최혜국 대우 관세율 현황 2023
국가별 단순평균 최혜국 대우 관세율 현황 2023 (사진 출처:세계무역기구 WTO)

우연치 않게 마약 때문에 관세를 매기는데, 미국 수출 랭킹 TOP3안에 들어가는 국가들이기 때문에 다른 이유도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추측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연설 장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연설 장면 (사진 출처:워싱턴 UPI 연합뉴스)

4.관세 부과에 따른 여파 

중국은 즉시 강력하게 반발하며, 미국이 자신의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자국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은 중국에 들어가 있지 않아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캐나다 총리와 대화를 나누는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 총리와 대화를 나누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 출처:뉴시스)

멕시코는 멕시코, 캐나다, 미국이 모두 중국에 대해 45% 관세 가자고 이야기하며, 중국에 대한 관세를 미국과 동일하게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대단히 흥미로운 의견들이 오고가며 캐나다 또한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일치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내세웠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멕시코가 미국에 살려달라는 신호로 보내는 것이라 추측하였습니다.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 출처:워싱턴/AFP 연합뉴스)

5.개인적인 의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포함하여 여러 나라에서 큰 파장이 생기고 있습니다.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업데이트되는 소식들을 꼼곰히 분석하고 주식시장의 흐름또한 정확하게 파악해야할 거 같습니다. 다음 글도 최근 이슈와 관련하여 꼭 알아야 하는 정보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